반응형 토극수2 [선운의명리터] 오행에 의한 통변 방법 4, 5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 적은 글입니다. 틀린 부분은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목극토- 가서 자리를 점유하여 내것으로 만들다. (댓글) 천간의 목극토는 기반을 잡은 것이고, 지지의 목극토는 안정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목극토가 상관견관이라면 상관을 견관했으니 두들겨패서 내것으로 만드는 데는 천재인 것(목극토의 해석을 접목시킨 해석) 쟁재는 여자한테 찝쩍거리는 것. 상관견관은 관에 가서 찝쩍거리는 것. 육친이 어떻게 되어 있으냐에 따라 오행의 의미도 달라지니 오행의 해석을 고정시키지말라. 계수일간은 목이 상관인데 운에서 토운(관운)이 오면 상관견관이 되는데 토가 약하게 오면 별볼일 없는 곳에 가면 된다. 별볼일 없는데 가서 치고 빠지면 된다. 목이 토를 봤다는 것은(상관견관) 장소제.. 2023. 7. 26. [선운의명리터] 기초강좌-오행의 생극관계 대체로 양은 생하고 음은 극한다. 갑목, 병화, 무토, 경금 : 생을 잘한다. 임수는 생을 못한다. 1)갑목 : 목생화, 수생목, 목극토을 잘한다. 2)병화 : 목생화는 잘하나 화생토는 안한다. 화극금은 못한다. 3)무토 : 토생금, 화생토, 토극수를 잘한다. 4)경금 : 금생수, 토생금, 금극목을 잘한다. 5)임수 : 금생수 잘되고 수생목은 안됩니다. 수극화도 잘 못합니다. 화를 꺼트리지 못하고 수화상쟁만 만든다. 병화가 경금을 상하게는 못한다. 화는 금을 극하기는(화극금) 하지만 제련의 개념이다.(화생금) 화에 의해 상하는 건 천간 신금이다. 유금이 화에 의해 상하지는 않는다. 천간신금은 정화에 의해 상한다.(병화에 의해 상하지는 않는다) 병화가 화생토가 안된다는 것은 토가 두터워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2023. 2. 2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