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인생 오후를 위하여! '명리공감 혹은 사람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10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리공감 혹은 사람공부118

[선운의명리터] 정관격의 상신,용신,희신 1,2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적은 글입니다. 틀린 부분은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정관격에 정재가 있으면 재생관을 하면서 정인용신을 극하는 일이 생긴다. 즉 내가 하는 일에 방해를 하는 기신이 된다. 격에서만 이런 이야기가 된다. 이런 경우는 재극인이 안되도록 정재를 다스려야한다. 정재를 다스리는 방법은 신왕해야 한다. 신왕하면 재극인하지 않는다. 신왕하면 능히 재를 복종시킬 수 있다. 신왕은 격을 감당하고 유지해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다. 신왕하면 격을 나름대로 좌지우지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라는 의미이다. 편관격과 식신격은 꼭 신왕해야 써먹을 수 있다. 편관격은 식신이 용신이고 식신격은 편재가 용신이다. 정재로는 잘 써먹지 못한다. 식신격은 편재가 있어야 도식을 막는다. 편인을 .. 2023. 8. 15.
[선운의명리터] 상관격에 대하여 1,2,3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 적은 글입니다. 틀린 부분은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격이라는 것은 사회적 레벨, 위치 이런 것을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 용신에 의해 격이 높아질 수도 낮아질 수도 있다. 편관격이 재생살이 아주 잘되어 신약하면 편관이 아주 왕한 것. 그럼 이 사람의 지위가 높냐? 아니다. 사회적인 지위가 높고자 하는 마음이 무지 강한 것. 용신인 식신이 있으면 높아질 수 있다. 용신은 격을 격답게 하는 것. 용신의 역할은 사회에 적응하는 것. 격과 용신은 사회속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고 살아가는 지를 보는 것. 문제는 격과 용신만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는 없다. 억부용신과 격용신은 항상 충돌을 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사람이 갈등하면서 살아가는 것. 출근해야하는데 한시간 더 자.. 2023. 8. 13.
[선운의명리터] 격과 용신의 상관관계1,2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적은 글입니다. 틀린 부분은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격과 용신의 일심동체와 같다. 격은 사회적 삶의 목표이고 용신은 사회적 삶의 수단이다. 상관격의 정인용신이라 함은 하는 행동의 목표는 상관이고 수단은 정인이라는 것. 정관격의 정인용신은 삶의 목표는 정관(상하관계를 규정하고 계급을 누리는 것)이며 그 수단은 정인.. 식신격은 재용신으로 안락하게 살고자 하는 삶의 목표와 안락하게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보호하자는 재용신. 격은 성격과 파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성격이 조건 길격의 성격 조건 : 격이 보호되어야 하고, 흉격의 성격 조건 : 격을 제하는 것이 성격. => 결국 이렇게 하는 것은 용신이다. 용신이나 상신이나 똑같은 이야기다라고 하시는데........ 선.. 2023. 8. 8.
[선운의명리터] 길격과 흉격의 상신의 차이와 이유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 적은 글입니다. 틀린 부분은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길격은 생하는 것이 상신이고 흉격은 제하는 것이 상신이다. 식신은 가장 원초적인 육신 길격 : 정관격, 정인격, 식신격, 정재격 흉격 : 양인격, 편관격, 편인격, 상관격, 편재격 길격에 대부분 정가 붙는 이유는 '관이라는 사회에 적합한 행위'를 하다라는 의미. 즉 길격은 관 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나온 것. 정관격은 말그래도 관에 합당한 행위를 하다. 정인격은 관을 보호하다. 정재격은 재생관을 하다. 식신격은 식정관합을 하고 편관을 극해서 관살혼잡을 막는다. 건록격-비견은 재를 잘 극하지 않는다. 비견이 많아도 쟁재를 잘하지않는다. => 길격은 관의 입장에서 보면 다 정신이 똑바로 박힌 것. 그 길격의 행위를.. 2023. 8.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