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리공감 혹은 사람공부118 [선운의명리터] 월별 살아가는 법 - 酉, 戌, 亥월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 적은 글입니다. 더 자세한 공부는 선운의 명리터나 선운닷컴을 이용하세요.[酉월] 가을은 결실의 계절. 신월생은 열심히 화극금한다. 연구, 고민하고 더 나아지려고 한다. 성실 근면의 총아가 신월생이면, 유월생은 곡식이 무르익은 것. 관리하는 것. 신월생이 벼가 영글 수 있도록 계속 보살피고 무럭무럭 단단해지도록 온갖 정성을 기울이는 것이면, 유월생은 무르익은 것을 관리하는 것. 이미 혜택받은 자 라는 뜻. 유월생은 기본적인 경제적 여유를 가지고 태어났다. 대단히 객관적. 냉철. 냉정. 계산적. 이해타산적. 유월생은 시시비비를 정확히 가린다. 네것 내것의 경계를 분명히 했다. 내가 얼마나 이득이 될지, 손해가 될지 경계선을 뚜렷이 보다. 항상 무엇이든 판단을 하려.. 2024. 2. 27. [선운의명리터] 월별 살아가는 법 - 午,未,申월 이 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 적은 글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선운의 명리터를 검색하세요. [午월] 여름의 시작. 화기가 가장 올라서 쇠붙이로 올라가려고 하는 것. 염(炎) 최고를 향해서 가는 것 .정점. 심플하고 단순하다. 화라는 것은 성장하는 것. 잠시라도 멈추면 안 되는 것. 午월생은 지금 내 눈앞에 있는 것들을 바로 해결하면서 살아가는 것. 午월은 염열(炎熱) 이 같이 치열한 것. 천간에 병정화가 뜨면 더더욱 그러하다. 午월생은 지극히 현실주의자. 눈앞에 보이는 먹고사는 문제에 가장 치중하면서 살아간다. 단순하다. 복잡한 생각을 하지 않는다. 모 아니면 도. 머리를 굴리거나 다른 차원의 생각을 하지 못한다. 성실 근면 정직한 사람. 세상에 적응을 누구보다 잘 하지만 세상에 적응하는.. 2024. 2. 27. [선운의명리터] 월별 살아가는 법 - 寅,卯,辰,巳월 이글은 선운의 명리터에 공개된 내용을 받아 적은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선운의 명리터를 검색하세요. 인묘진월에 태어났다는 것은 때묻지 않은, 그자체로 순수함.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기본으로 전제한다. 목왕절(인묘진월생)은 세상물정 모르는, 때묻지않은 사람으로 태어난 것. 목왕절이 청소년기라면 화왕절생 장년기(청년기가 맞을 듯..... , 장년기는 금왕절생일 듯.. 표현 잘못하신것?) 목왕절생이 순진한 것이면 화왕절생은 순수하고 정직한 것. 화왕절생(사오미월생)은 열심히 살려고 하고 사회에 적응할려고 하는 것, 정직하게 살려고 하는 것. 화는 현실적으로 내가 먹고 살기위해서 혼신의 힘을 다하면서 산다. 화왕은 누군가에게 의지하지 않고 항상 독립적으로 살려고 한다. 금왕절생(신유술월생.. 2024. 2. 26. [창광] 음양과 오행 (사오미월의 병화) 이 글은 유튜브에 공개된 강의를 받아 적은 글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큼학당을 검색해보세요. 巳월 병화 巳월에는 화기가 맹렬하니 임수로 용을 삼는다. 병화가 진월부터 임수를 쓰는 것을 화를 잡자는 것이다. 인월에 임수를 쓰는 것도 화를 잡자는 것, 화를 잡는 것은 병화 자신을 다스리는 것 묘월에 임수를 쓰는 것은 수생목하자는 의미이다. 묘목을 키우는 것. 병화일간의 임수는 대개 자기 자신 병화를 다스리는 것이다. 묘월 임수만 수생목하는 것. 병화로 태어난 사람은 자기 자신을 다스리지 못하면 격이 안서는 인물이라는 의미가 있다. 병화는 자기 자신을 다스리고 살아야한다, 정화도 마찬가지다. 병정화는 자기절제를 할 때 스스로 (품)격이 높아진다. 그래서 무토가 임수를 제극하면(토극수) 꺼린다. 격이 낮아진.. 2024. 2. 23. 이전 1 ··· 3 4 5 6 7 8 9 ··· 30 다음 728x90 반응형